이번 1.7.40679 초과 버전부터 프라우드넷 예제의 사용방법이 달라졌습니다.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1CMake로 프로젝트와 솔루션 파일 만들기
프라우드넷 설치 과정 말미에 CMake를 설치할 수 있는 다이얼로그 창이 뜹니다.
설치 버전으로 CMake를 설치하는 도중에 다음 스크린샷과 같은 창이 뜹니다.
이 창에서 cmake.exe의 경로를 시스템 PATH에 등록하도록 합니다.
CMake는 아래 링크의 공식 사이트에서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Command Line에서 CMake 이용하기
1. cmd.exe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예제의 CMakeLists.txt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합니다.
2.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CMake가 지원하는 IDE 목록을 얻습니다.
cmake -G
cmake 3.11.0 버전의 경우, 위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3.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 파일을 사용할 IDE에 해당하는 이름을 출력된 목록에서 찾습니다.
= 기호 왼편에 있는 부분이 IDE 이름인 문자열입니다. ( = 오른쪽 부분은 IDE에 대한 설명입니다. )
1.7.42835 버전에서는 Simple Server & Client와 SynchWorld Server를 제외한 나머지 예제들은 윈도우 Visual Studio에 대해서만 CMake가 가능합니다. Simple Server & Client와 SynchWorld Server는 Unix Makefiles로 CMake 및 빌드가 가능합니다.
4. 찾아낸 IDE 이름을 쌍따옴표(")로 감싸서 앞서 입력한 cmake -G 명령 뒤에 붙여 입력합니다.
cmake -G "Visual Studio 15 2017"
Visual Studio의 경우, 32비트는 IDE 목록에 써있는 [arch]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렇지만 64비트용 프로젝트와 솔루션 파일을 만드실 경우에는 [arch]부분에 "Win64"를 입력해주셔야 됩니다. 이에 해당하는 예시 명령어를 보여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ex > cmake -G "Visual Studio 15 2017 Win64"
GUI 버전의 CMake 이용하기
CMake는 GUI 버전도 지원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CMake 설치 경로 상의 cmake-gui.exe를 실해하시면 됩니다.
CMake GUI 사용법에 대한 예시로, 윈도우의 Visual Studio를 타겟으로 솔루션 &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CMake를 할 예제의 폴더 내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CMakeLists.txt의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2CMake 결과물인 솔루션과 프로젝트 파일들이 생성된 위치를 지정해줍니다.
3Grouped를 체크해주면 이후 진행과정에서 질의 다이얼로그 창들이 하나로 합쳐져서 한번만 나옵니다.
4Configure 버튼을 누르면 설정한 내용대로 CMake를 할 수 있는지 체크과정이 시작됩니다.
5Configure 버튼을 눌러서 통과되면 Generate 버튼을 눌러 CMake를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