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한국어
1.7.47942 이하 ~ 1.7.42965 이상 버전에서 Release_Static_CRT 폴더 내의 lib가 MT가 아니라, MD인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1.7.47942 이하 ~ 1.7.42965 이상 버전의 Release_Static_CRT 버전 lib 파일들을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2018년 11월 29일에 올린 1.7.42907 버전은 C#의 Manged DLL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2018년 12월 5일에 해당 버전을 수정한 1.7.42965 버전으로 대체하였습니다.
이 버전의 arm32arm64용 iOS 유니티 플러그인에 빌드 문제가 있습니다. 해당 문제는 다음번 공식 릴리즈에서 수정되어질 예정입니다. 본 버전의 iOS 유니티 플러그인을 사용하셔야 된다면, 빌드 문제가 없는 arm64only용만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주의 : 1.7.42965-master ~ 1.7.43672-master 버전에서 DLL 버전의 프라우드넷 모듈에 메모리 누수 문제가 있는 것이 확인된 상태입니다.
릴리즈 버전 : 1.7
빌드번호 : 42965
릴리즈 타입 : master
릴리즈 날짜 : 2018년 11월 29일 (한국시간기준)
수정된 기능 -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지 않는 수정사항
설치폴더 내 라이브러리 파일들의 경로가 변경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guide.nettention.com/tutorial_ko#pathtree
이제 모든 Only Native 기반 샘플들이 CMake 기반으로 빌드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guide.nettention.com/cpp_ko#cmake
NetServer에서의 TCP, UDP 소켓 버퍼 크기를 30% 수준으로 줄였습니다.
NetClient에서의 TCP 소켓 버퍼 크기를 30% 수준으로 줄였습니다.
이제 C#에서 enum ErrorType에 중복 이름이 없습니다. 가령 ErrorType.ErrorType_Ok는 ErrorType.Ok가 되었습니다.
Collection template 클래스들에 대해서 일부 읽기전용 함수들이 const 멤버함수가 되었습니다.
하나의 파일이던 리눅스용 라이브러리가 이제는 서버용과 클라이언트용 각각의 파일로 나뉩니다.
이제 C#용 dll을 사용하실 때에 새로 추가된 DLL 버전의 프라우드넷 라이브러리도 참조하게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ProudDotNetServer.dll은 ProudDotNetClient.dll, ProudNetClientPlugin,dll, ProudNetServerPlugin.dll, ProudNetClient.dll, ProudNetServer.dll를 필요로 합니다.
이제 Unity Editor 클라이언트용 플러그인을 사용하실 때에 새로 추가된 DLL 버전의 프라우드넷 라이브러리도 참조하게 만드셔야 합니다. 다만 Android나 iOS용 Unity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해당이 안됩니다.
이제 윈도우 VisualStudio용 프라우드넷 정적 라이브러리들은 pdb 심볼파일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새로 추가된 DLL 버전의 프라우드넷 동적 라이브러리들은 pdb 심볼 파일을 제공합니다.
이제 클라이언트-서버간 TCP 연결에서 핑퐁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연결 해제하는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백그라운드에서도 연결이 끊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false(꺼짐)입니다. 하위호환성을 유지하시려면 클라이언트에서 CNetConnectionParam::m_closeNoPingPongTcpConnections을 true로 변경하십시오. ( 유니티 등의 C# 코드에서 다른 CNetConnectionParameter들과는 달리 앞에 접두어 'm_'가 붙어서 m_closeNoPingPongTcpConnections로 보이는 것에 주의하셔야 됩니다. )
수정된 기능 -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는 수정사항
NetServer가 웹소켓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완료 후, 통계 누적 콜백이 호출되기 이전에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해제하면 크래시가 발생하는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일부 상황에서 서버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수정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 x86을 다시 지원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응답이 없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버의 처리 로직이 보완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이제 사용자가 정의하는 RMI ID가 1300번 이하 값을 쓰셔도 됩니다.
Visual Studio 2017에서 링크에러가 나는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일본어 운영체제에서 Proud::TypeToString가 일본어로 에러를 표시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이제 프라우드넷 설치파일에 포함된 Visual Studio 재배포 패키지가 2013용에서 2017용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기능
DLL 버전의 프라우드넷 서버와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여러분의 DLL 프로그램이 프라우드넷을 쓸 경우 DLL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dll 버전은 lib/Win32/dll과 lib/x64/dll에 들어있습니다. dll 버전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preprocessor로 USE_PROUDNET_DLL가 선언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dll 폴더에 있는 lib를 링킹하여 빌드하시고, 실행전에 실행파일 경로에 프라우드넷 dll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이제 PIDL에서 객체 타입을 사용할 때, 포인터와 레퍼런스 타입도 사용 가능합니다.
이제 PIDL 파일에 컴파일 에러가 있는 경우, Output 창 뿐만 아니라 Visual Studio의 Error List 창에도 에러가 나타납니다.
이제 유니티 2017,2018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이제 Visual Studio 2017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LLVM Clang으로 빌드된 안드로이드 NDK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arm64-v8a용 안드로이드 정적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 유니티용이 아닙니다. 유니티용 arm64-v8a 플러그인은 1.7.44387-master 버전부터 지원합니다. )
이제 NDK r13b와 r17에 대해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퇴역된 사항
NDK r10d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16.2English
Static library files for Release_Static_CRT in 1.7.47942 ~ 1.7.42965 version are not /MT but /MD. You must not use these files.
Warning : In 1.7.42965-master ~ 1.7.43672-master version, there is a memory leak problem with the ProudNet module of DLL version.
Warning : There is a build error about iOS Unity Plugin for arm32arm64.
Version 1.7.42907 on November 29, 2018 had a problem with the Manged DLL in C #. On December 5, 2018, we replaced this version with version 1.7.42965.
Release version: 1.7
Build number: 42965
Release type: master
Release date: November 29, 2018 (Korea time)
Fixed features - fixes that do not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The path of the library files in the installation folder has been changed. Please click the following link for details. http://guide.nettention.com/tutorial_en#pathtree
All Only Native samples are now built on CMake. Please click the following link for details. http://guide.nettention.com/cpp_ko#cmake
TCP and UDP socket buffers on NetServer have been reduced to 30%.
TCP socket buffer size on NetClient reduced to 30%.
Now there is no duplicate name in enum ErrorType in C #. For example, ErrorType.ErrorType_Ok becomes ErrorType.Ok.
For the Collection template classes, some read-only functions became const member functions.
The library for Linux is now divided into separate files for both the server and the client.
Now, when using the C # dll, you should also refer to the new version of the DLL for the new DLL version. For example, ProudDotNetServer.dll requires ProudDotNetClient.dll, ProudNetClientPlugin, dll, ProudNetServerPlugin.dll, ProudNetClient.dll, and ProudNetServer.dll.
Now, when you use the plug-in for the Unity Editor client, you also need to refer to the new version of the DLL for the new version of the DLL. However, this does not apply to the Unity client library for Android or iOS.
Now, the ProudNet static libraries for Windows VisualStudio do not provide pdb symbol files. Newly added DLL versions of the ProudNet dynamic libraries provide pdb symbol files.
You can now turn off the ability to disconnect when a ping-pong timeout occurs in a client-to-server TCP connection. The default is false(off) to ensure that connections are not disconnected in the background.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change CNetConnectionParam::m_closeNoPingPongTcpConnections on the server and client. ( Note that unlink other CNetConnectionParameters in C# code, such as Unity, the prefix 'm_' is appended. so it is 'm_closeNoPingPongTcpConnections'. )
Fixed features - fixes that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Fixed an issue that caused a crash when the client disconnected before the NetServer was sent to the client on the Web socket and the statistical callback was called.
Fixed a constant increase in memory usage on the server under some circumstances.
Android has been modified to support x86 again.
Modified to complement the server's processing logic for unresponsive clients.
You can now use a user defined RMI ID of 1300 or less.
A problem with link errors in Visual Studio 2017 has been fixed.
Proud :: TypeToString has been fixed to display an error in Japanese in the Japanese operating system.
Now, the Visual Studio redistributable package included in the ProudNet installation file is now available for 2013 to 2017.
New features
A DLL version of the ProudNet server and client libraries have been added. It is recommended that you use the DLL version if your DLL program writes to the ProudNet. ( The dll version is in lib/Win32/dll and lib/x64/dll. Projects using the dll version must have USE_PROUDNET_DLL declared as a preprocessor. You also need to link and build the lib in the dll folder. And before running, you should have a ProudNet dll file in the executable file path.)
Pointers and reference types are now available when using object types in PIDL.
If there is a compilation error in the PIDL file, an error will appear in the Error List window of Visual Studio as well as in the Output window.
We now officially support Unity 2017,2018.
Visual Studio 2017 is now officially supported.
Android NDK library built with LLVM Clang has been added.
Android static library for arm64-v8a has been added. (Not for Unity. The arm64-v8a plug-in for Unity is supported from 1.7.44387-master)
We now officially support NDK r13b and r17.
Deprecated features
NDK r10d is no longer supported.